2025년에도 급성장하는 생성형 AI
서울--(뉴스와이어)--글로벌 마켓 인텔리전스 기업 센서타워(Sensor Tower)가 챗GPT, 딥시크 등 생성형 AI 앱의 현황, 오디언스 변화와 확장, 신규 사용자 유치를 위한 최신 전략, 여러 카테고리 앱이 각자의 분야에서 AI가 제공하는 기회와 잠재적 위협에 어떻게 적응하고 있는지 등 끊임없이 변화하는 AI 경쟁 환경을 심도 있게 분석한 ‘2025년 AI 앱 현황’ 리포트를 발표했다.
챗GPT 출시 이후 AI에 대한 관심이 급격히 증가한 지 2년이 넘었지만, 모바일 분야에서 AI 수요는 더욱 가속화되고 있다. 2025년 상반기 전 세계 생성형 AI 앱의 다운로드 수는 17억 건에 달했으며, 인앱구매 수익은 19억달러에 육박했다.
더욱 주목할 점은 다운로드와 IAP 수익 모두 직전 반기 대비 성장률이 꾸준히 증가했다는 것이다. 2025년 상반기 다운로드 수는 직전 반기 대비 67% 급증하며, 2023년 상반기 이후 가장 빠른 성장세를 보였다. IAP 수익 역시 2024년 하반기 대비 2025년 상반기에 두 배로 뛰어오르는 등 비슷한 성장 패턴을 보였다.
소비자가 생성형 AI 앱에서 소비하는 시간도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2025년 상반기 사용자들이 이들 앱에서 보낸 총 시간은 무려 156억 시간에 달하며, 이는 하루 평균 8600만 시간에 해당한다. 같은 기간 생성형 AI 앱의 총 세션 수는 4260억 회에 이르렀다. 이는 전 세계 인구가 평균 약 50회씩 생성형 AI 앱을 사용했다는 의미다.
미국 및 기타 영어권 시장에서는 챗GPT 출시 이후 생성형 AI 앱 도입이 빠르게 진행됐다. 그 결과, 북미 지역은 한때 생성형 AI 다운로드 시장의 약 20%를 차지했으나 생성형 AI 앱이 전 세계적으로 인기를 얻으면서 2025년 상반기에는 이 비중이 11%로 감소했다. 그럼에도 북미 지역의 다운로드 수는 여전히 증가하고 있다.
아시아는 인도와 중국 본토 등 주요 시장에서 빠르게 성장하며 생성형 AI 다운로드 선두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2024년 하반기부터 2025년 상반기까지 생성형 AI 앱 다운로드는 80% 증가해 같은 기간 유럽의 51%, 북미의 39% 성장률을 크게 앞질렀다.
생성형 AI 앱의 인앱구매(IAP) 수익은 2025년까지 모든 지역에서 빠르게 증가했으며, 북미 지역이 7억6200만달러(직전 분기 대비 +74%)로 선두를 차지했다. 특히 챗GPT는 앱 수익 측면에서 중국 본토를 제외한 모든 주요 시장을 선도하고 있으며, 2025년 상반기 전체 생성형 AI 앱 수익의 63%를 차지할 정도로 독보적인 위치에 있다.
챗GPT는 사용자가 평균 매월 약 13번씩 앱을 사용하는 등 사용자들에게 빠르게 사용자 일상에 깊게 자리 잡고 있다. 이 사용 빈도는 X와 Reddit 같은 다른 인기 앱 사용자들과 유사한 수준이었다.
챗GPT의 폭넓은 매력을 보여주는 또 다른 지표는 주말 사용량이 증가하는 추세다. Microsoft Teams나 Slack 같은 업무용 앱은 주말 동안 앱과 웹에서 사용량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인다. 2024년 상반기에는 챗GPT 역시 앱과 웹 모두 주중 사용량이 더 많아 비슷한 패턴을 보였으나 극단적이지는 않았다.
그러나 2025년 상반기에는 챗GPT의 모바일 사용량이 주중에 집중되는 경향이 크게 줄어들었다. 이 변화로 인해 챗GPT의 앱 사용 패턴은 업무 시간과 비업무 시간 모두에서 주요 검색 도구로 활용되는 Google과 더욱 유사해졌다.
챗GPT는 다양한 플랫폼에서 빠르게 신규 사용자를 확보해왔으며, 최근에는 더 많은 사용자가 모바일 앱과 chatgpt.com을 동시에 활용하고 있다는 점이 눈에 띈다. 이는 사용자들이 데스크톱과 모바일 기기 모두에서 자유롭게 서비스에 접속하는 편리함을 높이 평가하고 있음을 뜻한다. 이러한 추세는 사용자들이 업무와 엔터테인먼트 모두를 위한 다목적 도구로 챗GPT를 사용하기 시작했음을 시사한다.
챗GPT는 여러 플랫폼에서 사용자에게 효과적으로 도달하며 높은 크로스 플랫폼 활용도도 보여주고 있다. 2025년 6월 기준 전체 오디언스의 15% 이상이 모바일 앱과 웹 버전을 모두 활용하고 있었다. 반면 최근 출시된 테무와 Threads 같은 앱들은 이와 같은 수준의 기기 간 중복 사용률을 아직 달성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챗GPT가 기존 검색 시장을 뒤흔들 잠재력은 이미 명확히 드러났다. 최근 몇 년간 챗GPT의 참여 지표는 급격히 상승해 이제는 주요 검색 엔진 브라우저 애플리케이션과 어깨를 나란히 할 정도로 성장했다. 2025년 상반기 챗GPT 사용자의 평균 세션 수는 7.8회로, 2024년 대비 37% 증가했으며 상위 검색 엔진 및 브라우저 앱 코호트 평균을 소폭 웃돌았다.
챗GPT의 하루 평균 사용 시간은 여전히 상위 검색 엔진 및 브라우저 앱 코호트 평균보다 낮지만, 그 격차는 빠르게 좁혀지고 있다. 2025년 상반기 챗GPT 사용자의 하루 평균 앱 사용 시간은 16분으로, 2024년 대비 무려 58% 증가했다. 세션 수와 일일 사용량 모두 가파르게 증가한 것은 챗GPT가 소비자에게 점점 더 핵심적인 정보 탐색 도구로 자리 잡고 있음을 보여준다.
지난 몇 년간 AI 오디언스가 얼마나 빠르게 변화했는지, 인기 앱들이 챗GPT와 같은 AI 어시스턴트와의 경쟁에서 앞서 나가기 위해 어떻게 선제적으로 AI 기능을 도입·적응하고 있는지, 또 스크린샷·키워드·맞춤형 제품 페이지 등 오가닉 검색 강화를 위한 최신 전략과 인기 AI 어시스턴트가 더 많은 캐주얼 오디언스를 끌어들이기 위해 세우고 실행하는 전략까지 AI 최신 동향에 대한 더 많은 인사이트는 ‘2025년 AI 앱 현황’ 리포트 전문에서 확인할 수 있다.
센서타워 소개
센서타워는 모바일 앱, 디지털 광고, 리테일 미디어, 사용자 인사이트 분야에서 전 세계 주요 브랜드와 앱 퍼블리셔들이 신뢰하는 선도적인 정보 제공업체다. 전 세계 디지털 경제를 측정하는 것을 사명으로 하는 센서타워는 수상 경력에 빛나는 자사 플랫폼을 통해 모바일 앱과 디지털 생태계 전반에 대한 완벽한 가시성을 제공함으로써 기업들이 변화하는 시장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정보에 기반한 전략적 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지원한다. 2013년 설립 이래 센서타워는 마케터, 앱 및 게임 개발자들이 사용량, 참여도, 유료 획득 전략에 대한 가시성을 확보해 모바일 앱 생태계를 이해할 수 있도록 지원해왔다. 현재 센서타워의 디지털 시장 인사이트 플랫폼은 오디언스, 리테일 미디어, 디지털 광고 인사이트(옛 패스매틱스) 등으로 확장돼 브랜드와 광고주들이 웹, 소셜, 모바일 전반에서 경쟁사의 광고 전략과 오디언스를 효과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돕고 있다.